방문건강관리기획과자원연계 - seoulhp.com content 1. 우문현답? 2. “건강”...

66
방문건강관리기획과 자원연계 2018. 5. 17. 한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 교육연구센터 우세옥 발표: 서울시 통합건강증진지원단

Upload: others

Post on 07-Oct-2020

6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방문건강관리기획과자원연계

    2018. 5. 17.한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

    교육연구센터

    우세옥

    발표: 서울시 통합건강증진지원단

  • 敎學相長교학상장

    가르치고 배우면서 성장함.

    중국 오경(五經)의 하나인 《예기(禮記)》의 〈학기(學記)〉편

    2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27538&ref=y

  • CONTENT

    1. 우문현답?

    2. “건강” 을 다시 생각하다.

    3. 방문건강관리사업의 기획

    4. 자원연계 사례

    1>안산노인365 건강돌봄통합지원센터

    2>장애인주치의 사업

    3>왕진 주민건강리더

    3

  • 건강, 건강증진, 다시생각하다.

    4

    건강정의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건강은 단순히 질병이 없거나 결함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한 안녕한 상태이다.

    건강증진 (1984, WHO)은

    “사람들이그들의(로하여금) 건강을개선하고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높여주는 과정"

    또는최적의건강상태를향해생활양식을변화시킬수있도록돕는과학이며예술이다. 최적의

    건강은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지적건강의균형상태를말한다.

    생활양식은의식의강화, 행동의변화, 바람직한건강습관을지지하는환경조성을통해강화될수

    있다 .(O’ Donnell, 1989)

    출처, 지역사회간호학 , 수문사, 2008

  • 복합적이고중층적인건강의결정요인

    ○건강형평성제고를위해지역단위접근이모범적대안으로제기됨.

    생물학적, 생활양식, 환경, 사회경제적요인,의료복지조직

    지역단위접근

    지역구성원참여와역량강화

    ○ 지역구성원의 참여와 역량강화는지역 건강증진의 핵심

    참여모형적용의적합성

    ○ 지역 주민 참여모형으로서서울시 통합건강증진사업의 적합성

  • 기획이란 ?

    어떤대상에대해그대상의변화를가져올목적을확인하고, 그목적을성취하는데에가장적합한행동을설계하는것을의미한다.

    이에대해계획(plan)은기획을통해산출된결과를의미하며, 사업계획(program)과단위사업계획(project)은계획의하위개념으로볼수있다.

    모든기획의본질은 “문제를해결”(P-S)하는것이다.

    [기획은 2형식이다] 남충식

    (사전적 의미)

    6

  • 기획의순환

    참고>지역사회간호학 , 수문사, 2008, 7

    3. 우선순위 설정과각종 사업방법

    1.전제조건의 사정

    2. 보건현황의 분석 4. 계획의 작성

    5. 사업수행

    6. 평가 및 재계획

  • 방문건강관리에서의기획?

    기起Why

    승承Why

    전轉What /How

    결結So(far)

    왜 이기획을 하는지 (purpose)우리의 과제는 무엇인지

    (project/ Objective)

    현상적 문제(Phenomenon)근본 원인이 무엇이지

    (Problem)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핵심아이디어와 실행을 위한

    액션플랜(Solution/Stimulation)

    본 기획(안)의 기대효과사후 관리방안

    [기획은 2형식이다. 남충식,재구성]

    8

  • 예시> 건강실천단기획(안)

    기起Why

    승承Why

    전轉What /How

    결結So(far)

    (purpose/project/ Objective)

    “ 균형잡힌 식사와 운동실생활에서 실천을 과연잘 하고 있는 것일까?”

    “처방된약은제대로 먹고있는 걸까?”

    어떻게스스로 건강한 습관,행동을 변화시킬 것인가? (Phenomenon/ Problem)

    왜 당수치(고혈압, 비반도)는개선되지않을까?

    교육, 매번 방문할 때마다 하는데…..

    (진료실에서) 균형잡힌 식사, 운동상담그런데.. 진짜 생활은?

    액션플랜(Solution/Stimulation)건강실천단

    식사를 함께 만들어 먹어보고운동도 함께 해보고

    스트레스도 함께 이야기 하고건강실천약속도하고

    식사일지도,숙제도하고….

    12주의 건강실천단평가,

    지속관리 F/u 1개월마다건강한 습관,행동변화

    9

  • 건강실천단기획(안)

    10

  • 지향점: 주민, 이웃, 지역사회의 건강, 돌봄, 복지 공동체

    2차 예방

    [1차] 위험요인으로부터 건강보호활동

    • 건강강좌, 건강(보건)학교• 건강생활습관 실천활동 건강소모임• 월별 생활실천 운동 / 예방접종

    • 건강검진 받기 운동• 적정한 외래진료• 가정간호, • 환자권리장전 실천

    • 만성질환 자조모임(당뇨교실 / 고혈압/암환자)

    • 가정간호, 방문간호어르신,장애인돌봄(방문요양)복지연계: 자원봉사활동(취약계층어르신밑반찬서비스등)

    다양한지역자원협력과

    연계

    정부, 지자체,

    사회경제영역, 연대

    [3차] 합병증 예방 ,재활[2차] 조기진단과 치료

    예방중심의건강증진활동2017. 10. 10ver /우세옥

    1,2,3차전과정건강실천단

    의료협동조합의건강증진활동-예방중심

    11

  • 12

  • 13

  • 일자 주 세부 일정 특이사항

    0차 사전검사 (혈액, 신체계측, 설문지)

    1차 건강실천단 소개, 동료알기

    주치의 개별상담 개별목표정하기

    2차 건강밥상 나누기

    3차 왜 식생활이 중요한가 강의: 최**원장

    4차 대사증후군이 뭔가요? 강의: 이**부원장

    5차 건강걷기 (파워워킹) 신체발란스검사, 걷기방법

    6차 선배로부터 배운다. 몸바로알기

    7차 실천점검 (성공/실패 경험나눔) 사후검사

    8차 평가회

    대사증후군극복을위한건강실천단 _ 2010년 _안산의료사협_ 노동부사업개발프로젝트

    14

  • 우리동네, 우리구, 서울시지역자원은?

    15

    간호, 보건

    사회복지

    의료

    재활, 작업치료

    공간,거점주택

    문화, 예술

    주민,약자

    이외에서 수많은숨겨진 지역자원?

  • 16

    건강이란

    “아픔을중심에 두고자기를

    극복하는힘”이며,

    몸, 마음, 세상의안녕과더불어

    영적, 생태적으로

    건강한관계를

    발현해가는과정이다.

    건강약속아플때, 내삶을돌아보고

    몸과 마음의소리에귀기울입니다.

    내가아픈것은 세상이아픈것임을깨닫고그 아픔의근원을바라봅니다.

    생명이내는소리에귀열게하고이웃의아픔이곧내아픔임을압니다.

    늘안부를묻고살피는서로가되고이웃이아플 때손내밀어 잡습니다.

    생명, 그본성처럼늘서로돕고, 서로나누며더불어하나됨속에서기뻐합니다.

    한생명한생명이빛날수있게하소서.

    (2015. 10.05. 한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2018.1. 29. 총회개정)

  • 자료출처: 2017 안산의료사협 365노인건강돌봅통합지원센터장 권성이

    사례 1.

    17

  • 3차년도 사업

    돌봄 안전망 구축

    건강돌봄 취약 어르신사례발굴 및 개입

    지속가능한 노인건강돌봄 체계 구축

    노인 총체적 건강 증진

    지역공동체와함께

    건강하고행복하게늙어가기

    (살아가기?)

    18

  • 지역사회 노인 안전망 형성으로독고노인의 심리,정서건강 향상

    1

    1. 365건강위험노인지킴이 :

    - 365명조직과지역선포발대식

    2. 노인건강코디네이터 (건강짝꿍)

    3. 공동체나들이

    의료-복지-돌봄 사각지대 노인의 삶의 질 향상2

    1. 찾아가는건복돌배달부서비스

    2. 의료복지돌봄사각지대참여자사례관리

    건강자치능력 향상 및 건강개선3

    [노인만성질환관리경로모형연구및시범적용]

    -주치의등록만성질환관리(케어플랜,

    건강상담,의료지원)

    -건강실천단운영 : 만성질환,

    근골격계질환군각4개집단조직

    - 건강자조모임 5개운영

    건강실천과 사회관계망 형성을 위한 물리적 공간이용기회를 제공하여 신체건강개선, 노인 심리정서 건강 개선

    4

    단노건강사랑방 운영-건강교육, 건강관리지원,건강나들이,-건강실천 자조모임 : 건강리더양성, 걷기,식이요법, 요가

    선부건강사랑방-건강관리,건강강좌-건강소모임 : 건강실천단,건강발표회,나들이-신체기능증진활동

    찾아가는 건강사랑방-반월동, 안산동, 본오동, 사동-와동,선부동, 대부동, 육도

    19

  • 서비스 지원절차

    참여자발굴서비스 동의기초사정/간호사정기초검진/ 주치의등록케어플랜통합사례회의서비스 계획수립서비스제공

    -의료지원-영양관리-방문진료/방문간호-심리정서지원-사회적건강지원-방문요양/ 일상생활-건강실천단

    서비스점검, 평가사례종결

    20

  • 주요 사업

    건강코디네이터

    지원건강실천(간호사,

    사회복지사)

    방문의료서비스

    긴급의료비지원

    건강취약계층

    노인지원

    노인신체적건강향상

    노인주치의일차의료

    건강리더지원(노인일자리사업, 청년일자리사업)

    21

  • 주요 사업

    경로당노인

    주민공간

    마을공간

    마을건강사랑방(심리,사회적건강향상을위한커뮤니티공간)

    사회적안전망, 관계망 형성, 노인우울및자살률감소

    공동생활

    공동주택

    22

  • c

    주요 사업

    장기요양서비스(국민건강보험공단)

    요양바우처(국가지원)서포터즈(실비지원)

    노인지킴이(자원봉사)

    건강돌봄 취약 어르신 장기요양등급 어르신

    23

  • 장애인 주치의사업 지역연계

    2017.

    한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자료출처: 장애인주치의 사업단 오춘희 실장

    사례 2.

    24

  • 주치의

    치료자, 옹호자, 조력자

    내건강한삶을

    설계하도록

    돕는사람

    건강코디네이터

    발굴자, 상담ㆍ계획, 기회제공,

    연결자,

    (기획자,조정자, 교육자, 상담자)

    함께건강한삶을계획하고

    건강필요를연결조정하여

    건강한관계를

    만들어가는 사람

    주치의와건강코디네이터역할

    25

  • 장애인주치의관리과정

    주치의등록 - 기초조사

    1차사례관리회의(주치의,건강코디네이터)

    – 우선순위, 계획수립(케어플랜)

    방문진료, 방문상담

    2차사례관리회의(주치의,건강코디네이터)

    – 평가와 2차계획수립

    1.

    2.

    3.

    4.

    순환피드백

    26

  • [주치의 희망한의원이강재]

    ■방문진료 : 6회■약처방 : 1회■상담및생활처방

    ■사례관리계획-월4회가정방문진료-월1회가정방문간호-심리정서지원-지역자원연계(의료기구)

    주치의등록신청 대상자(사례)

    Ct 조○○(46세,女)

    장애

    장점

    욕구

    -장애유형: 뇌병변 2급(희귀성난치병)

    -다발성경화증으로진단, 경증으로

    진행되었으나 2013년상태 급 악화

    -인정점수:380점

    -활동지원등급:1등급마형(118시간)

    문제

    -약

    복용:위장약(우루사),항생제,진통제,

    뇌혈관질환류

    -신체증상:대소변의사표현, 휠체어

    이용 30분(변경), 폐경

    -치과치료, 영양섭취

    -음식섭취가능(소량 1일 4~5회)

    -장애인활동지원, 가족(남편,

    동서)보살핌

    -성격 조용하며자녀(1남1녀)와 함께

    동거

    -적절한의사표현전달

    -소통에관심을보이며감정표현(눈물)

    -건강관리의중요성(가족)

    -건강유지관심

    -심리정서적안정화

    -치과치료

    -가족구성원과의화목

    장점

    욕구

    문제

    27

  • 장애인주치의사업

    28

  • 장애인주치의사업의다양한지역연계

    1. 장애인주치의사업참여를위해기관이나관공서(시군구청, 보건소) 에서대상자를추천하는경우

    - 의사가직접대상자에연계되는서비스는장애인주치의사업이유일함. 실제관공서의추천에의해장애인주치의사업에참여하는경우가많았음.

    2. 장애인주치의사업대상자의상황에따라지역자원을연계하는경우

    - 건강코디네이터가직접요구를확인, 자원연계

    ^ 당사자가거주하는동주민센터복지담당공무원을통한

    일차적연계

    ^ 연계가능한지역자원파악후직접연계

    3. 지역복지관사회복지사와주치의, 건강코디네이터가함께TF를운영하는경우

    - 욕구파악후자원연계까지시간단축가능

    29

  • 04. 사례발표

    • 뇌병변 2급 장애인,금천구청의 추천으로 장애인주치의사업 수행

    • 활동 보조없이 장거리 병원 이용이 어려워약물조절이 되지 않음

    • 가깝고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대안의료시설로연계(법적 보호자가 있어 의료지원이 되지 않음)

    • 사실 이혼관계이나 상대의 이혼절차 거부로 보호자없이 혼자 생활

    • 인스턴트음식(라면 등)으로 생활, 식사관리가 전혀되지 않아 의료지원이 별 효과를 나타내지 않음

    • 복지관의 도시락 봉사와 연계

    • 집안 활동이 어려워주민자치센터에 집수리지원

    (화장실 등 보조기구설치) 연계

    대한민국장애인으로살아 간다는 것?

    사례 –지역연계

    30

  • 사례–심리치료, 활동보조인제도연계, 2차의료기관지원연계

    31

  • 08. 사례발표

    ◆ 2016년주치의등록◆지체장애 1급(와상), (61세, 여)◆월 1회보건소간호사방문◆응급시안산고대병원입원◆욕창관리, 최소 5가지약복용◆전문적인의료적소견필요

    ◆방문진료 ,방문간호, 유선상담으로관리◆장애인주치의방문진료

    - 의료적소견- 저체온으로체온유지위한실내환경관리권고

    ◆지역가정간호사업소,방문간호사방문- 담당요양보호사에게욕창관리및치료방법설명

    ◆ 2017년 2월 13일사망“끝까지최선을다해진료해주신원장님과간호사, 직원

    분들께정말감사합니다” 라는마지막말씀으로사례종결

    사례 –가정간호사업소,방문간호서비스연계

    32

  • 자녀의장애를의학적진단이아닌긍정적으로바라볼수있도록장점찾아별

    칭짓기

    혼자가아닌공감대를갖고있는집단을통해서로지지와응원

    03. 성과사업

    사례 –장애인가족정서지원연계

    33

  • X아버지89세(치매)

    딸(연락두절)

    아들CT

    (36세)

    며느리(연락두절)

    손자11세

    (배변장애)

    -안산의료사협의료기관 연계

    -정신과전문의상담 연계 계획중

    - 기초건강검진- 방문진료- 방문간호- 유선상담

    - 노인주치의 서비스- 장기요양서비스

    사례 –가족전체통합관리

    정신과전문의, 장기요양서비스, 지역노인사업, 자활센터생활지원서비스연계

    34

  • 사례 –자활센터및자원봉사청소지원

    35

  • 1) 주요 질환 및 건강상태

    - 당뇨말기 합병증으로 인한 우측하지 절단

    - 심야 환상통, 외상후 트라우마(환청 등)

    - 우울증과 불면증(자살시도 3회), - 의족 장착(외출시)

    3) 관리 및 지원상황

    * 보건의료 :

    - 초기 수시 방문해 체크 및 병원진료 와 기초검진 위해 이송 지원, 매달 1회 진료 및 검진 위한 병원이송지원

    - 처방 후 관찰 및 적응 체크 위해 수시방문상담 교육, 추후지속적 관리 관찰과 교육상담 진행

    * 생활지원 :

    - 지역 자원연계 연결로 개인차입금 채무 80% 우선변재(차후 분활 상환)

    - 추가생계비 위한 일자리 알선 계획(장애인 작업장 등)

    - 기부(봉사) 치과의 틀니 지원 대상자에 등록 긍정적 검토 진행 중

    4) 평가

    -대상자의 우울감이 상당히 감소되었고, 자기표현을 하기시작 했으며

    필요한 도움 또한 상담해오며 작고 단기적이나 계획을 세워

    생활하려는 의지 보임.

    2) 가족 및 사회환경상태- 이혼 후 독거, 가족들과는 연락 두절 상태- 경제적 어려움(생활고 및 개인채무 등)- 외출에 대한 기피증..

    3) 주요문제 및 욕구- 혈당 자가관리 부재 및 식이관리- 내원 진료시 이동 불편(교통편과 비용)- 개인채무 변재 불능(생계비부족)- 대인 대면기피현상(치아소실로 대면 꺼림)

    사례 –생활지원 (채무변재연계, 치과치료연계)박OO(50세/여/지체3급)

    36

  • 1) 주요질환 및 건강상태

    - 당뇨 합병증인 녹내장으로 실명과 당뇨신장병(함요부종 극심), 빈혈

    - 거의 와상 상태로 침대에서 누워 대부분 시간이 수면상태로 계심(자극과 소리엔 반응함)

    - 심한 빈혈로 인한 현훈에 잦은 낙상으로 2차적 신체 손상 우려(낙상후 발톱2번 빠지고 안면부위 피멍 2회등)

    - 영양결핍으로 어지러움 호소와 두통, 가슴 답답함 호소(복부팽만 심함- 전해질 불균형)

    2) 가족 및 사회환경적 상태

    - 배우자와 딸, 아들 함께 기거함 (가족모두 지적장애)

    - 시내 외곽지역에서 생활하며 수급비로 생계를 이어감(아들 1명 만이 장애인 일터에서 직장다님)

    3) 주요문제 및 욕구상태

    - 당뇨합병증인 신장병으로 전신 함요부종 심하며 고혈당으로 인슐린 자가주사, 영양결핍으로 인한 극심한 빈혈과 어지러움 호소

    - 주 수발자인 배우자와 딸이 지적 장애를 갖고 있어 돌봄이 미흡한 부분이 드러남

    4) 관리 및 지원상황

    - 정기적 외에 수시방문으로 대상자 상태 체크 및 주 수발자 상담 교육과 관리 재점검

    - 빈혈과 극심한 전신 함요부종과 함께 가슴통증으로 응급 후송 조치 및 후송 의료기관 담당자와 유선보고 및 수혈 예약 시행

    - 자택에서의 당뇨신장병 식이관리 위해 딸과 요양보호사함께 내분비내과 전문영양사 교육훈련과 매뉴얼 식단관리 시행교육

    - 상태 호전된 대상자분 낙상예방교육과 가족들과의수발 협조 및 질병인식교육

    - 지역자원 연계로 빈의자회 의사 방문관리 시행시작(면단위, 시단위 통합관리 시스템 작동 ),

    - 농촌지역 건강지원사업단 자원연계 재가방문노인돌봄 지원(요양보호사 파견 재가 서비스 지원)

    5) 평가

    - 가족의 돌봄이 우려되었으나, 꾸준한 방문 및 돌봄에 대한 인지교육을 통해 현재 상당부분 개선되었음.

    사례 –가족/요양보호사식이교육, 지역의사회 , 노인돌봄서비스연계

    최OO(66세/남/시각1급)

    37

  • 사례 3.

    원주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왕진, 주민건강리더,자료 : 밝음의원김종희 (가정의학)원장

    38

  • 왕진배움과성장의원천

    주민건강조직화의현장

    고령사회통합돌봄의축

    의료협동조합의존재이유

    39

  • 농촌의료사각지대에서‘건강한관계’를배우고이어주는왕진이야기

    김종희/ 원주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40

  • 문제정의

    고립되는독거사회.

    그러나 “혼자사는것과,

    홀로되는것은다르다”

    주민주도성이결여된복지정책은

    ➡주민을복지수혜자의노예로전락시키고,

    ➡주민은홀로되며,

    ➡농촌의독거를확장시킨다.

    ➡➡혼자살지만, 함께살기위해서는주민사이 ‘건강한관계’의복원이

    - 설치비로 7억5천220만원

    - 19곳중 9곳폐쇄, 4곳일부사용, 6곳

    사용

    ➡복지지원액의중단에대한농

    촌노인들의원망확대

    “농촌길이폭우에무너졌는데주

    민들이군청에전화만하더라...

    노인일거리정책은이웃간협

    동을없애는제초제인가?”

    - 일방적행정복지

    ➡관계형주민복지어떻게가능한가? 41

  • 복지정책에대한질문: 주민동원인가주민참여인가?

    일방향 복지의 증가

    주민독거의고착화

    주민간의 대화 증가

    주민협동의증가

    민원전화만

    중가

    42

  • 해결책정의: 혼자살지만함께사는 ‘건강한관계’를이어주는왕진

    주민조직

    ①건강거점: 주민이 자연스레 생활속에모이는곳(경로당,교회,주민사랑방 등)

    ②주민조직: 농촌 지역의 주민자치모임③건강반장: 건강거점의 리더역할 주민

    건강거점

    건강거점

    건강거점

    건강거점

    건강거점

    주민조직

    주민조직

    주민조직

    주민조직

    ⑤지역 민관(民官) 자원들원주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농촌건강사업단

    길동무(돌봄 요양사)

    빈의자의사회(빈곤층,의료지원,자원봉사)원주시청, 희망복지지원단, 보건소/지소원주협동조합네트워크 회원단체 등등

    ④왕진농촌지역의 건강거점에 지역 주민조직과 함께 ‘건

    강한 관계’를 이어주는 촉진자 역할

    43

  • [헬스동아]‘왕진플랫폼’으로농촌의료복지사각지대해결실마리찾아

    - 왕진플랫폼은주민참여형왕진활동으로건강거점, 건강반장학교, 의료팀, 생활건강팀으로구성

    - “왕진으로만난농촌주민들은몸은아프지만건강한관계의씨앗을가지고서로를돌보는생활건강의주인공이다”

    - “더건강한미래의핵심을기술혁신이아니라주민사이가건강해지는관계의복원에있다”- 왕진의진화(봉사릴레이): 거동이불편한이웃주민들을위해원주시내로출퇴근하는농촌주민과농촌으로어르신을돌보러가는요양보호사들이주 1회마을심부름역할

    44

  • 목요일은왕진

    가는날

    - 의사

    - 건강코디네이터

    - 간호사

    - 돌봄요양보호사

    - 주민조직활동가

    - 어르신건강반장

    - ‘직원’참여?

    ①서곡생태마을(판부면) :서곡2리, 서곡4리 1반 2반 3반 4

    반, 서곡감리교회

    ②갈거리사랑촌(흥업면)

    ③성공회나눔의집(호저면) : 늘봄학교, 대명원한센마을

    ④토요인협동조합(매지리)

    ⑤둔둔리경로당자매결연,

    둔둔리별자리정신장애인그룹홈

    ⑥길동무돌봄왕진

    ⑦봉산동할머니집그룹홈의주간건강사랑방

    * 원주도농복합도시

    - 협동조합네트워크자원풍부!? 45

  • 왕진1

    건강반장학교

    (농한기)

    -건강검진

    -건강반장학교 5주

    -지역어린이동아리, 청년, 대

    학생연계

    “이 할머니는 변비가 심한데 약을 줘도 제대로 안먹어~~ 내

    가 챙겨줄게”

    “동네 연로하신 어르신이 응급상황 생기면 뭘 해야할지.. 그

    래도 내가 노인회장인데.. 좀 배워 돌봐드리고 싶어”

    “건강반장학교 열면 허리 튼튼 노하우를 갈켜줄게”(90할머니)

    46

  • 왕진2

    봉산동할머니집

    주간건강사랑방- 매주목요일

    “혼자사는것과,

    홀로되는것은다

    르다”

    47

  • 농촌주민조직과의연대

    “목공팀에서 000 어르신

    작업전시장꾸미기작업

    에돌입.

    자신의전시장을가지고싶

    어하는 95세어르신이연

    신작업장을떠나지않는

    다. 음료수에맥주도사

    오시고~~.목공팀과어르

    신의목공으로의만남”

    (서곡생태마을)

    왕진3

    48

  • 왕진4

    주민조직과함께하는

    낙상위험생활환경개선

    49

  • 왕진5

    확장된가족관계맺기

    “100세내가건강해야할이유?”(손주)

    -지역사회아동청소년건강 10년전략

    50

  • 51

    사례 4.

    안성의료사협, 건강리더자료제공: 강명근 원장 (예방의학과)

  • 현미채식 실천소모임

    경영-이용위원회

    (조합원 참여) 우강지사업연구개발팀

    사업소 내 프로그램 및 역할 사업소 외 단위 프로그램 후속/확장 프로그램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검진센터

    건강상담

    만성질환자 투약관리

    건강수첩 제공

    생활처방전 발부

    단위 프로그램 지원

    의사

    접수

    검진 사후 관리

    보건교육

    건강반 활동가(수선화)

    현미채식 실천단

    현미채식 실천소모임이슈별 건강 소모임

    마을별 건강 모임

    연령대별 건강자료

    만성질환교육(고/당)

    보건학교

    소식지 (읽기 모임)

    처방전첩 만들기

    양한방협진 관리

    우강지 소프트웨어를 통한사업 관리(대상자 관리/연계/환류)

    치아건강수첩

    당뇨교실

    4080 치아건강사업

    해바라기 교실 연계

    구강보건학교

    우강지사업 코디네이터

    의사

    접수

    우강지 소프트웨어를 통한사업 관리 지원

    우강지 소프트웨어를 통한사업 관리(대상자 관리/연계/환류)

    단위 프로그램 지원

    단위 프로그램 지원

    생활처방전 공작소

    지역보건 예산감시

    의사

    의뢰소개연계 사

    업간연계

    *

    *

    #

    #

    #

    #*마을별 건강 반모임 활용자료

    이슈별 건강 소모임 이슈 예

    반/소모임의 회원 발굴

    반/소모임의 리더, 대의원 양성

    참여 조합원의 성숙 과정

    미확정 사업 및 사업단위

    2016. 5.16.연합회월례포럼 강명근원장안성의료사협 모형도

    52

    안성의료사협주치의명칭조합원공모

    우리동네건강지키미

  • 53

  • 54

  • 55

    저, 박중기이산데요아다들아신다고요오늘은잘모르시는

    얘기하나들려드리려고요

  • 56

    안녕하세요.

    중기형이랑같은동네사는의료생협의

    왕고참박중만입니다.

  • 57

    박중만과박중기

    박중만과박중기는한마을에살았더래요 둘이는서로서로안성의료사협열성조합원이었더래요

    박중만조합원은의료사협이생기기전주말진료나오던의사들에게심폐소생술비기를전수받는데,

    그러던어느날박중기형이그만…

  • 58

    의식을잃고쓰러진박중기형에게배우신대로심폐소생술하는바른생활청년중만씨

  • 그려그래서내가여지쩍살아있다니까

    심장펄떡펄떡뛰면서

    59

  • 60

    내가족, 내이웃그리고나의생명을지키는

    생명지키미 = 심폐소생술

    배워서남을살리는

    그리고나를살리는

    2015년교육홍보위중점사업으로

    날이면날마다배울수있습니다

    심폐소생술

  • 61

    심폐소생술때매내가살았잖아,꼭배웁시다

    아자~

  • 62

    자원의개발과활용

    보다적극적으로 국가및지방자치단체의예산지원및협력

    국가 2014 농림축산식품부예산지원(농촌공동체회사지원사업) 건강점프 – 건강리더의양성

    광역자치단체 경기도따복마을공동체사업 조합원에소개

    보건소와의협력프로그램 상호정보제공과지원/교류 건강마을만들기 상시적협조를위한수시방문 보건소의프로그램조합원에게적극소개

  • 안성 건강모임의운영유형

    농촌공동체형 열린형 ; 마을주민들과함께(신혜균님)

    닫힌형 ; 조합원들만같이 –예) 조합원걷기모임

    도시공동체형 동아리형

    취향의동일성의근거로모인건강반

    볼링반, 그림반, 우크렐라반, 텃밭모임

    거주단위별 –건강한동네를만들자 함께같은동네에사는사람들이거주지역의동일성을근거로

    아파트단지, 단독주택단지마을

    건강반만들기

    63

  • 건강점프밑그림윤재일디자이너

    64

    안성의료사협건강리더양성과정

    건강점프사례

    건강리더발굴나의건강을증진하고 이웃의안부와건강을묻고 건강한활동에함께하고 건강한마음(건강수다)을 나누고, 지지, 연결합니다. 건강한나, 건강한이웃 건강한마을을지향

    건강증진의 대상화가 아닌

    스스로 자신의 건강자치역량을향상시키는 과정을 통해

    건강리더로 성장 하는지역사회전략

  • 65

    건강이란

    “아픔을중심에 두고자기를

    극복하는힘”이며,

    몸, 마음, 세상의안녕과더불어

    영적, 생태적으로

    건강한관계를

    발현해가는과정이다.

    건강약속아플때, 내삶을돌아보고

    몸과 마음의소리에귀기울입니다.

    내가아픈것은 세상이아픈것임을깨닫고그 아픔의근원을바라봅니다.

    생명이내는소리에귀열게하고이웃의아픔이곧내아픔임을압니다.

    늘안부를묻고살피는서로가되고이웃이아플 때손내밀어 잡습니다.

    생명, 그본성처럼늘서로돕고, 서로나누며더불어하나됨속에서기뻐합니다.

    한생명한생명이빛날수있게하소서.

    (2015. 10.05. 한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2018.1. 29. 총회개정)

  • 감사합니다.

    Health for all.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