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한자어 -...

35
한자, 한자어 한국어 어휘와 표현 2019. 4. 1.

Upload: others

Post on 09-Mar-2020

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한자, 한자어

    한국어 어휘와 표현

    2019. 4. 1.

  • 어휘 이해 테스트

    • 아래 문장에서 ‘경우’의 의미는 같은가?• 저 사람은 참 경우가 바르다.

    • 그런 경우에는 이렇게 해라.

    • 아래 문장에서 ‘과정’의 의미는 같은가?• 사건의 진행 과정을 관찰하였다.

    • 그는 석사 과정을 마치고 유학을 떠났다.

  • 어휘 이해 테스트

    • 아래의 두 단어 중 옳은 것은?• 아이의 상상력을 개발/계발하기 위해서는

    • 비합리적인 인습을 지양/지향해야 한다.

    • 우리 모두 도매금/도매급으로 욕을 먹었다.

    • 아래 단어의 의미는?• 정부는 사건의 진상을 호도하려 하고 있다.

    • 극장 앞에 관람객들이 장사진을 이루고 있다.

    • 결혼식이 끝나고 피로연을 하고 있다.

  • 경우(境遇), 경위(涇渭), 경위(經緯)

    • 경우(境遇) • case

    • 경위(涇渭)• 경수(涇水)(흐림)와 위수(渭水)(맑음)

    • 중국 고대 전설에서, 경수는 흐리고 위수는 맑은데 이 두 강이 합류한 뒤에도 흐린 물과 맑은 물이 섞이지 않았다고 함.

    • 사물의 옳고 그름에 대한 분별. 사리분별.

    • 경위(經緯)• 직물의 씨줄과 날줄

    • [지리] 경도와 위도

    • 일이 진행되어 온 과정

  • 과정(過程)과 과정(課程)

    • 과정(過程): course, process• 사건의 진행 과정을 조사하다

    • 과정(課程): course, curriculum• 1학기 과정을 마치다

    • 정규 과정/의무교육 과정을 이수하다

    • 석사/박사 과정을 수료하다

    • 의과대학은 6년 과정이다

  • 개발(開發)과 계발(啓發)

    • 개발(開發)• 토지, 자원 등을 유용하게 만듦.

    • 산업, 경제를 발달시킴.

    • 예: 석유 자원 개발, 토지 개발, 경제 개발

    • 계발(啓發)• 생각, 재능 등을 일깨워 줌.

    • 예: 소질/상상력/외국어 능력/자기 계발

  • 어휘 이해 테스트

    • 전향적(前向的)

    • 퇴행적(退行的)

    • 사행심(射倖心)

    • 정중동(靜中動)

  • 한자 독음 테스트

    • 다음 중 밑줄 친 한자의 음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① 認識 ② 標識 ③ 一面識 ④ 識字憂患

    •① 簡易 ② 容易 ③ 難易度 ④ 易地思之

    • ㉠~㉢의 독음은?

    • 暴惡(㉠)한 사람을 憎惡(㉡)하는 마음은 낙원을 渴望(㉢)하는 사람들의 본능이다.

  • 파음자(破音字): 1자(字) 2음(音)

    • 暴: 쬘/드러낼 폭; 사나울 포• 폭로; 포악

    • 乾: 하늘 건; 마를 간• 건곤; 간자장

    • 樂: 음악 악, 즐거울 락, 좋아할 요• 악곡; 쾌락, 낙원; 요산요수

    • 行: 갈/다닐/행할 행; 줄 항• 행위, 행진; 항렬, 항오

    • 惡: 악할 악; 미워할 오• 악행, 악인, 죄악; 증오

  • 파음자의 독음 단일화 경향

    • 파음자는 본래 의미에 따라 독음이 다르나

    • 둘 중 우세한 독음 쪽으로 단일화되는 경향이 있다.

    • 暴: ‘폭’으로 단일화• 폭력, 폭행

    • 乾: ‘건’으로 단일화• 건포도, 건어물, 건조

    • 行: ‘행’으로 단일화• 행렬, 제1행

  • 한문 구조 파악 능력 테스트

    • 다음의 고전문학 작품들 중 (작품 내용이 아니라) 제목의 구조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 ① 조침문(弔針文)

    • ② 도이장가(悼二將歌)

    • ③ 제망매가(祭亡妹歌)

    • ④ 규중칠우쟁론기(閨中七友爭論記)

  • 한문과 한국어의 어순 차이

    • 한문은 동사+목적어, 한국어는 목적어+동사

    • 한자어 중에는 한문 어순을 따른 것도 있고 한국어 어순을 따른것도 있다.

    • 한문 어순을 따른 것• 살인(殺人): 사람을 죽임

    • 발권(發券): 표[券]를 발매(發賣)함

    • 매표소(賣票所): 표를 파는 곳

    • 한국어 어순을 따른 것• 육식(肉食): 고기를 먹음• cf. 일본어 券売機(kenbaiki): 표[券]를 파는 기계

  • 상황에 어울리는 표현은?

    • A 회사는 새로운 항암제를 개발하여 이 약의 임상효과에 대한연구를 김 교수에게 의뢰하였다. 김 교수는 이 약이 뚜렷한 항암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얻지 못했지만, A 회사로부터 계속 연구비를 받기 위해서 연구 결과를 A 회사에게 유리하게 포장하여발표하였다.

    • ① 고식지계(姑息之計)

    • ② 곡학아세(曲學阿世)

    • ③ 조삼모사(朝三暮四)

    • ④ 지록위마(指鹿爲馬)

  • 상황에 어울리는 표현은?

    • 오케스트라 단원인 김 씨는, 몇 달 뒤에 있을 창립 10주년 기념음악회의 레퍼토리로 대중가요를 제안했으나, 지휘자는 클래식음악가가 대중가요를 연주할 수는 없다고 딱 잘라 거절했다.

    • ① 고답적(高踏的)

    • ② 독선적(獨善的)

    • ③ 상투적(常套的)

    • ④ 위선적(僞善的)

  • 한자 고사성어 테스트

    • 나머지 셋과 의미가 가장 다른 것은?

    • ① 누란지세(累卵之勢)

    • ② 백척간두(百尺竿頭)

    • ③ 사면초가(四面楚歌)

    • ④ 풍전등화(風前燈火)

  • 한자 고사성어 테스트

    • 다음 중 4자 성어의 뜻을 잘못 풀이한 것은?

    • ① 등하불명(燈下不明): 등잔 밑이 어둡다.

    • ② 고진감래(苦盡甘來): 고생 끝에 낙이 온다.

    • ③ 목불인견(目不忍見):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

    • ④ 고장난명(孤掌難鳴): 손바닥도 마주 쳐야 소리가 난다.

  • 한자 고사성어 테스트

    • 다음 중 ‘아랫돌 빼서 윗돌 괴기’와 의미상 거리가 가장 먼 것은?

    • ① 미봉책(彌縫策)

    • ② 임기응변(臨機應變)

    • ③ 임시방편(臨時方便)

    • ④ 언 발에 오줌 누기

  • 한자 고사성어 테스트

    • 다음 중 밑줄 친 표현이 잘못 사용된 것은?

    • ① 그는 백면서생(白面書生)이라 세상 물정을 잘 모른다.

    • ② 그가 쓴 책이 불티나게 팔려서 낙양(洛陽)의 지가(紙價)를 올리고 있다.

    • ③ 조령모개(朝令暮改) 식으로 정부의 시책이 이렇게 자꾸 바뀌면 안 된다.

    • ④ 우리는 이제 오월동주(吳越同舟)의 운명이니 뜻을 모아 잘협력해 나갑시다.

  • 한자 고사성어 테스트

    • 다음 중 밑줄 친 표현이 잘못 사용된 것은?

    • ① 우리는 머리 숙여 고인(故人)의 명복(冥福)을 빌었다.

    • ② 임금의 붕어(崩御) 소식에 온 백성이 슬픔에 젖어 있다.

    • ③ 빈소(殯所)에는 고인(故人)의 영정(影幀)이 모셔져 있었다.

    • ④ 우리 할아버지는 향년(享年) 80세이신데도 아직 정정(亭亭)하시다.

  • 한자 고사성어 테스트

    • 아래 내용에 가장 알맞은 표현은?

    • 나는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해서 선거운동 기간 동안 이리저리바쁘게 뛰어다녔다. 나의 장점과 포부를 유권자들에게 알리기위해 최선을 다했다. 이제 몇 시간 뒤면 개표가 시작된다. 나는최선을 다했기 때문에, 선거에서 이기든 지든 후회는 없다.

    • ① 각고면려(刻苦勉勵)

    • ② 고진감래(苦盡甘來)

    • ③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

    • ④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

  • 고사성어 활용 능력 테스트

    • 다음 내용에 알맞은 표현은?

    • 김 병장은 소대 내의 신참 병사들에게 항상 따뜻하게 대해 주고힘든 일은 잘 시키지 않는다. 자기가 신참이었던 시절에 고참들에게 괴롭힘을 당하여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힘들었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지만, 그런 고통을 신참들에게 물려주고 싶지않은 것이다.

    • ① 타산지석(他山之石)

    • ②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한다.

    • ③ 지성(至誠)이면 감천(感天)이다.

    • ④ 기소불욕 물시어인(己所不欲 勿施於人)

  • 고사성어 활용 능력 테스트

    • 다음 내용에 알맞은 표현은?

    • 김철수 의원은 작년 대통령 선거에서 A 후보의 당선을 위해 최선을 다해 뛰었고, 그 결과 A 후보가 당선되었다. 김철수 의원이A 후보 당선의 일등공신임은 자타가 공인하는 바이다. 그런데 A씨가 대통령에 당선된 지 1년이 채 못 되어 김철수 의원에게 비리 혐의를 덮어씌워서 감옥에 보내려고 하고 있는 것이다. 김철수 의원은 요즘 심한 배신감을 느끼고 있다.

    • ① 수주대토(守株待兔)

    • ② 토사구팽(兔死狗烹)

    • ③ 득어이망전(得魚而忘筌)

    • ④ 조문도 석사가의(朝聞道 夕死可矣)

  • 고전 名句 활용 능력

    • 다음 내용에 알맞은 표현은?

    • 철수는 이해력이 뛰어나서 가르쳐 주는 것을 잘 알아듣고, 스스로 책도 많이 읽어서 잡다한 지식이 많기는 하지만, 습득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거나 어떤 문제에 대해 스스로 생각해서자기 의견을 형성하는 능력은 떨어진다.

    • ① 사이불학즉태(思而不學則殆)

    • ② 학이불사즉망(學而不思則罔)

    • ③ 소년이로 학난성(少年易老 學難成)

    • ④ 학이시습지 불역열호(學而時習之 不亦說乎)

  • ㉠~㉣에 들어갈 적절한 단어는?

    • 매사(㉠)에 자신(㉡)이 있는 사람은 자신(㉢)을 사랑하는 만큼 다른 사람도 존중(㉣)할 줄 안다.

    • ㉠ : ① 每事 ② 梅事

    • ㉡ : ① 自身 ② 自信

    • ㉢ : ① 自身 ② 自信

    • ㉣ : ① 尊重 ② 存重

  • ㉠과 ㉡에 들어갈 적절한 단어는?

    • 소학(小學)은 어린이들에게 유학의 기본 정신과 일상생활에서의 윤리를 가르치기 위해 유교경전과 역사서에서 여러 가지 이야기들을㉠ 하여 만든 책이다.

    • 따라서 논어(論語), 맹자(孟子) 같은 책에 비해 무게감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16세기 초에 우리말로 번역된 소학은 비교적 자유로운 의역체(意譯體)로 되어 있다.

    • 그러나 사림파가 중앙 정계를 장악하면서 유교 교육의 강화를 주장하였고 그 과정에서 소학을 중시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소학도 논어, 맹자 같은 어엿한 경전의 ㉡ 에 오르게 되었다.

    • 그 결과 16세기 말에 다시 번역된 소학은 딱딱한 직역체(直譯體)로되어 있다. 성현의 말씀을 함부로 자유롭게 의역할 수는 없다는 태도가 반영된 것이다.

  • ㉠과 ㉡에 들어갈 적절한 단어는?

    • ㉠: 발췌(拔萃), 선택(選擇), 조합(調合), 편집(編輯)

    • ㉡: 반열(班列), 왕좌(王座), 위치(位置), 지위(地位)

  • 표현이 자연스럽지 못한 것은?

    • ① 이번 영화에서 그녀는 훌륭한 연기를 보여 주었는데, 특히 피아노 위에 올라가 춤추는 장면은 매우 뇌쇄적(惱殺的)이었다.

    • ② 그의 작품은 몽환적(夢幻的)이고 신비로운 매력을 지니고 있다.

    • ③ 그의 글은 매우 현학적(衒學的)이어서 읽기도 쉽고 많은 지식을 얻을 수 있다.

    • ④ 그것은 실험이나 관찰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선험적(先驗的)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 표현이 자연스럽지 못한 것은?

    • ① 그건 다 지나간 일이니까 그렇게 자격지심(自激之心) 가질필요 없어.

    • ② 할머니는 우리를 노파심(老婆心)으로 정성껏 돌보셨다.

    • ③ 제가 어떻게 언감생심(焉敢生心) 그런 걸 바랄 수가 있겠습니까?

    • ④ 그렇게만 해 주신다면 정말 고맙죠. 불감청(不敢請)이언정 고소원(固所願)이죠.

  • 표현이 자연스럽지 못한 것은?

    • ① 그는 하던 일들이 모두 실패해서 허영심(虛榮心)에 빠졌다.

    • ② 그는 잠시 휴가를 얻어 망중한(忙中閑)을 즐기고 있다.

    • ③ 그는 의협심(義俠心)이 강해서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한다.

    • ④ 음악회는 매우 성황이어서 청중석이 입추(立錐)의 여지(餘地) 없이 들어찼다.

  • 아래 단어는 고유어일까 한자어일까?

    • 양말(洋襪), 장갑(掌匣), 사탕(沙糖), 김치(沈菜)

    • 모양(模樣, 貌樣)

    • 나중(乃終), 차례(次第)

    • 감자(甘藷)

    • 가난

  • 한자의 구성 원리: 육서(六書)

    •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 한자를 새로 만드는 방법• 상형: 사물의 모양을 본따서 글자를 만듦

    • 지사: 추상적인 개념을 도식적으로 나타냄

    • 회의: 이미 존재하는 한자들을 조합하여 복합 개념, 고급 개념을 나타냄

    • 형성: 뜻을 나타내는 한자와 음을 나타내는 한자를 조합함.

    • 가차(假借)와 전주(轉注): 이미 만들어진 한자의 용법을 확장하는 방법

  • 가차

    • 본래 어떤 단어를 나타내던 한자를, 그 단어와 동음어(同音語)인다른 단어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하게 되는 현상

    • 즉, 발음상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한 확장

    • ‘求’는 본래 고대 중국어에서 “가죽옷”을 의미하는 단어를 나타냈었는데, “구하다, 바라다, 찾다”를 의미하는 단어도 그와 발음이 같았기 때문에 ‘求’자를 그 단어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하게되었음.

    • 현대에도 서양의 고유명사, 상품명을 표기하는 데에 이 방법이널리 사용되고 있음.

  • 전주

    • 두 단어 사이의 의미상의 유사성, 관련성을 기반으로 한 확장.

    • ‘樂’자는 본래 “음악”을 의미했었는데, 음악을 들으면 즐거워지므로 “즐겁다”를 의미하는 데에도 쓰이게 되었음.

    • 의미 차이에 따라 독음도 달라짐. 악/락

  • 일본의 신문명 한자어

    • 일본은 에도시대부터 제한적이나마 서양 문명과 접촉하였고, 메이지시대에 들어 서양 문명을 전면적으로 수용하면서, 새로 들어온신문명 관련 사물, 개념에 해당하는 단어를 새로 만들어냈다.

    • 이 때 동아시아의 공통 지적 자산인 한자를 이용하여 신문명 한자어들을 대량으로 만들어냈다.

    • 이 화제(和製) 한자어는 중국, 한국에도 수출되어 널리 쓰이고 있다.

    • 한자는 어느 한 나라만의 소유물이 아니다. 이것을 잘 활용하면 자국뿐 아니라 전세계의 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 얻을 수 있는 교훈

    • 한국어 어휘 중 한자어가 2/3 정도를 차지하며, 우리 언어 생활속에 깊이 스며들어 있다.

    • 한자어 가운데에는 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가 매우 많다.

    • 동음이의어인 한자어들의 의미를 정확히 구별해서 인식하기 위해서는 한자에 대한 지식이 필수적이다.

    • 우리 생활에 깊이 스며들어 있는 동양 사상/문화에 대해 알기위해서는 한자, 한문에 대한 소양이 필요하다.